<p></p><br /><br /><br>[앵커]<br>107년 역사를 자랑하는 유성 온천 호텔이 문을 닫습니다. <br><br>대통령과 총리의 단골 숙박지로 올림픽 선수촌으로 한때 명성이 자자했던 곳인데, 무슨 일이 있는 걸까요?<br><br>김태영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쌀쌀한 날씨에는 온천이 제격이죠.<br><br>이렇게 야외족욕장에도 온천을 즐기는 사람이 많습니다.<br><br>그런데 뜨겁던 온천산업이 점점 식고 있습니다.<br><br>어떤 상황인지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190개 객실과 대규모 온천 시설이 있는 유성호텔입니다.<br><br>1915년 개장 이후 역대 대통령들이 숙박하고, 88서울올림픽 당시 선수촌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.<br><br>100년 넘게 이어온 이 호텔은 내년 3월 문을 닫습니다.<br><br>방문객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.<br><br>저녁시간 호텔엔 불 켜진 객실이 거의 없습니다.<br><br>[성시명 / 대전 서구]<br>"안 가는데요. 지금이야 내 집에서도 다 목욕을 할 수 있고 하니까 아무래도 안 가죠."<br><br>1994년 국내 첫 온천관광특구로 지정된 대전 유성온천은 2019년만 해도 470만 명 이상 찾는 인기 관광지였습니다.<br><br>하지만 불과 2년 뒤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<br><br>인근 다른 호텔은 개장 3년 만에 공매에 넘겨졌고 여러 번 유찰을 겪다 부분 매각되기도 했습니다.<br><br>전남 구례에 있는 온천 관광지입니다.<br><br>인적은 뚝 끊겼고 텅 빈 주차장엔 풀만 무성합니다.<br><br>1997년 전남 첫 관광특구로 지정될 때만 해도 지역 경제에 효자가 될 거란 기대가 컸습니다.<br><br>현실은 달랐습니다.<br><br>2015년 29만 명이 넘던 관광객은 5년 만에 86% 넘게 줄었고, 이후엔 집계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><br>이곳을 대표하던 온천랜드마저 3년 전 문을 닫았습니다.<br><br>곳곳엔 문을 닫은 숙박업소들이 있고, 임대 현수막도 걸렸습니다.<br><br>[숙박업소 관계자]<br>"건물이 다 썩어 자빠진 거예요. 다 문 닫았어요. 지금."<br><br>문을 연 식당도 하루 개시조차 버겁습니다.<br><br>[식당 주인]<br>"사람이 없으니까 다 죽을 맛이에요. 카드값을 못 막아서 대출 내서 냈어요."<br><br>지금 오후 6시가 넘었는데요.<br><br>관광지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조용합니다.<br><br>취재진 카메라 조명을 끄면 빛도 없이 캄캄합니다.<br><br>문을 연 가게는 손에 꼽을 정도.<br><br>지나가는 차량도 좀처럼 보이지 않습니다.<br><br>구례군은 민자 휴양 시설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현장에선 건물을 팔겠다는 사람들만 몰립니다.<br><br>[부동산 관계자]<br>"판다고 내놔도 거래가 돼야 말이죠. (지금은 내놔도 산다는 사람이 있어요?) 없죠."<br><br>전국에 온천지구는 66곳.<br><br>상당수가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습니다.<br><br>관광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해 인기가 시들해진데다, 코로나 사태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.<br><br>전문가들은 일본의 경우를 주목합니다.<br><br>전국 3천 개 넘는 온천이 있는 일본에선 지역 특성에 맞는 축제 등을 연계해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.<br><br>[김흥렬 / 목원대학교 항공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]<br>"다양한 요소들의 체험거리들이 겸비돼야 하는데, 사람들이 와서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것들, 체험하는 쪽으로 가야."<br><br>온천이라는 천혜자원이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는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시설과 서비스, 이미지 등에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><br>현장카메라 김태영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:박영래 정승환<br>영상편집:정다은<br><br><br /><br /><br />김태영 기자 live@ichannela.com